라이젠 5600GT 리뷰: 지금 사도 괜찮을까? 실사용 완벽 분석
5600X보다 싸고, 내장 그래픽도 있다? 라이젠 5600GT의 진짜 성능, 함께 확인해보세요!
안녕하세요! 요즘 라이젠 5000 시리즈 중에서 유난히 눈에 띄는 녀석이 있죠. 바로 라이젠 5 5600GT인데요. 성능은 준수하면서도 내장 그래픽까지 탑재되어 있어 가성비 CPU로 엄청 주목받고 있어요. 저도 '이거 진짜 쓸만할까?' 싶어서 직접 구매해 조립해봤습니다. 과연 게임은 어느 정도 가능한지, 5600X와 비교했을 때 어떤지 지금부터 하나씩 알려드릴게요!
라이젠 5600GT 개요
라이젠 5 5600GT는 2024년 초 AMD가 새롭게 출시한 APU입니다. 기본적으로는 라이젠 5 5600X의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하면서, 내장 그래픽(Vega 7 GPU)을 탑재한 점이 특징이에요. 가격은 5600X보다 저렴하면서도 그래픽카드 없이도 동작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입문자용 시스템에 최적화된 CPU라 볼 수 있어요.
주요 스펙과 특징
라이젠 5600GT는 기본적으로 Zen 3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GPU가 없는 5600과 달리 내장 그래픽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입니다. 아래 표로 주요 사양을 정리해봤어요.
항목 | 내용 |
---|---|
코어/스레드 | 6코어 / 12스레드 |
기본/부스트 클럭 | 3.6GHz / 4.6GHz |
L3 캐시 | 16MB |
내장 그래픽 | Radeon Vega 7 (1900MHz) |
TDP | 65W |
벤치마크 및 게임 성능
내장 그래픽 성능은 문서 작업이나 간단한 온라인 게임은 무리 없이 돌릴 수 있을 정도예요. 배틀그라운드, 롤, 오버워치도 옵션 타협하면 플레이 가능하더라고요. 벤치마크 결과를 리스트로 정리해볼게요.
- Cinebench R23 (멀티): 약 11,100점
- 3DMark Time Spy (iGPU): 약 1,350점
- 롤 풀옵: 평균 80~100fps
- 배그 국민 옵션: 평균 40fps
- GTA5 중옵: 평균 45fps
5600X, 5600G와 비교
라이젠 5600GT는 기존 5600과 5600G 사이에 위치한 제품이라고 볼 수 있어요. 성능은 5600X와 거의 비슷하면서도 내장 그래픽이 포함돼 있다는 점에서 5600G보다 한 수 위죠. 아래 비교 표를 참고해보세요.
항목 | 5600GT | 5600G | 5600X |
---|---|---|---|
내장 그래픽 | O (Vega 7) | O (Vega 7) | X |
L3 캐시 | 16MB | 8MB | 32MB |
클럭 | 3.6 / 4.6GHz | 3.9 / 4.4GHz | 3.7 / 4.6GHz |
성능 | 5600X와 비슷 | 다소 낮음 | 최고 성능 |
어떤 사용자에게 적합할까?
5600GT는 특히 그래픽카드를 따로 구매하지 않으려는 분들께 좋습니다. 사무용, 간단한 게이밍, 가벼운 영상 편집까지도 커버 가능하거든요. 아래와 같은 분들께 추천드려요.
- 그래픽카드 없이 PC 조립하고 싶은 사용자
- 사무용 + 가벼운 게임 용도로 구성하려는 분
- 가격 대비 성능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실속형 유저
조립 시 팁과 참고사항
BIOS 업데이트가 안 되어 있으면 부팅이 안 될 수 있으니 메인보드 바이오스 호환 여부 확인은 꼭 필요합니다. B550 계열 이상이면 대부분 OK!
- 내장 그래픽 활용 시 HDMI 포트 있는 메인보드 확인
- RAM은 듀얼 채널로 구성해야 iGPU 성능 최대화 가능
- 발열은 높지 않지만, 공랭쿨러 추가하면 정숙성 좋아짐
네, 옵션을 조절하면 롤, 오버워치, 발로란트 같은 캐주얼 게임은 충분히 플레이할 수 있어요. 고사양 게임은 별도 그래픽카드가 필요합니다.
성능 면에서는 5600GT가 더 낫고, 캐시 용량도 더 크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봤을 때도 5600GT가 더 유리해요.
B550 칩셋 메인보드와 조합이 좋습니다. 특히 HDMI/DP 포트가 있는 제품을 선택해야 내장 그래픽 출력이 가능해요.
네, 기본 쿨러(Wraith Spire)가 제공됩니다. 일반적인 사용에서는 충분히 사용 가능하지만, 저소음이나 오버클럭을 원한다면 교체를 고려해도 좋아요.
아니요, 라이젠 5600GT는 DDR4 전용입니다. DDR5를 사용하려면 라이젠 7000 시리즈를 선택하셔야 해요.
메인보드가 듀얼 출력(예: HDMI + DP)만 지원한다면, 5600GT의 내장 그래픽으로도 듀얼 모니터 환경이 가능합니다.
라이젠 5600GT, 한마디로 말하자면 “가성비와 실용성의 완벽한 타협”이에요. 그래픽카드 없이도 기본적인 사용은 물론, 캐주얼 게임도 즐길 수 있어서 입문자들에게 정말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죠. 저도 직접 써보면서 '이 가격에 이 정도면 대박'이라는 생각이 들었답니다. 혹시 새로 PC 맞추시려는 분이라면 꼭 한 번 고려해보세요. 실속 있는 선택, 후회하지 않으실 거예요!
라이젠 5600GT, 라이젠 내장그래픽, 가성비 CPU, AMD APU, 게임용 CPU, 사무용 PC, 5600GT 후기, CPU 추천, 라이젠 비교, 그래픽카드 없이 PC
'하드웨어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TIME A604G 완전정복: 설정, 속도, 꿀팁 총정리! (0) | 2025.04.21 |
---|---|
HP 703 잉크 완전 정복: 오래 쓰는 프린팅의 시작 (1) | 2025.04.20 |
Intel HD Graphics, 내장 그래픽의 모든 것 (0) | 2025.04.19 |
다이소 DP to HDMI 어댑터, 쓸만할까? (2) | 2025.04.17 |
라이젠 5 5600X3D, 가성비 게이밍의 숨겨진 고수? (0) | 2025.04.16 |